목록타 산업 (4)
flimofoil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란,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계통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 부하 평준화(경부하 시에 유휴 전력을 저장하고, 피크부하 시 저장된 전력을 사용)로 전력운영 최적화. ESS 종류 1. 양수 발전 상대적으로 전력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가 적은 야간에 높은 곳에 있는 저수지로 물을 퍼 올려 저장한 후, 전력 소비가 증가하는 주간에 저장된 물을 수직 낙하시켜 발전하는 방식이다. ㅇ 기동성, 안정성, 효율(75~80%) 뛰어남 ㅇ 원자력과 같은 대용량 발전소의 운전정지 시 또는 전력계통의 돌발 사고나 긴급 부하변동 등에 적극적인 대처가능. △ 지리적, 지질적 제약있으며, 초기 투자비용 크..

태양광발전 / 태양열발전 구분도 할줄 모르는 지식상태였기 때문에 간단히 정리해 보려한다. 태양열발전 : 말 그대로 태양의 열을 이용. 집열판을 이용해 태양열을 흡수 후 저장 열변환 등을 통하여 열에너지로 활용. 발전효율이 낮다. 태양광 발전 : 태양의 빛과 태양전지 활용. 광기전효과를 이용하여,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발전방법. 태양광 발전의 개념 태양전지는 광전효과 라는 빛의 성질 이용한다. * 광전효과란, 광자가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와 충돌할 때 제일 바깥쪽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 (빛 = 광자라는 빛의 흐름) 이 전자를 한 방향에 흐르게하는 방법에 따라 태양전지는 ㅇ 실리콘계 태양전지(반도체) ㅇ 유기태양전지 (전도성 고분자) ㅇ염료감응형 태양전지(광촉매특성) 로 구..

데이터 마이닝이란, 간단히 많은 데이터 가운데 숨겨져 있는 유용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여, 미래에 실행 가능한 정보를 추출해 내고 의사 결정에 이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수많은 축적된 데이터들로 관련되어진 자료가 실제 업무 현장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속에는 관련된 기업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귀중한 정보와 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가 숨어 있다.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어떠한 방법으로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연구과제. 데이터 마이닝의 일반적인 절차 데이터 -(선정)-> 목표 데이터 -> 사전처리 -> 변형 -(데이터 마이닝)-> 패턴 -(해석 및 평가-> 지식 ㅇ 데이터 마이닝 기법 -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 어떤 개체나 대상들을..

라이다는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로 풀이되거나 'light'와 'radar'를 혼합하여 만든 합성어로 풀이됨. 즉, 전파대신에 빛을 쓰는 레이다를 뜻함. 기본개념은 레이저 펄스를 발사해 그 빛이 주위의 대상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받아 물체까지의 거리 등을 측정함으로써 주변의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장치. 흔히 알고있는 레이더, 초음파 센서, 카메라와 비슷해보인다. 의문이 생긴다. 왜 빛이어야 할까 ? 라이다, 레이더, 초음파 센서, 카메라는 저마다 고유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되는 곳이 다르다. 특징을 간단히 이야기해 보자면, 초음파는 몇 미터만 벗어나도 대기 중에서 크게 감쇠한다. (주로 단거리 물체 감지용) 카메라는 비용 효율적이고 쉽게 구할 수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