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축 Issue/용어정리 (4)
flimofoil

전공 1회독 끝내고 오랜만에 포스팅 오늘은 스마트시티 사례분석 때 꾸준히 등장했던 리빙랩(Living Lab)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Living Lab 단어 뜻 그대로 풀이하면 생활 공간속의 실험실이란 뜻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 곳곳을 실험실로 삼아 다양한 사회 문제의 해법을 찾아보려는 시도를 가리킨다. 개발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으로 리빙랩으로 지정된 지역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시민 모두가 실험 참여자이자 해법을 찾아내야하는 주체다. 찾다보니 리빙랩 자체는 단순히 스마트시티에 국한된 개념이 아니었다. 21세기에 접어들며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으로 리빙랩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었다. 유럽에서는 우리보다 앞선 2000년대 초 유럽리빙랩네트워크(ENoOLL)을 꾸렸고, 우리나라도 200..
EPC 설계(Engineering), 조달(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 등의 영문 첫 글자를 딴 말로, 대형 건설프로젝트나 인프라사업 계약을 따낸 사업자가 부품/소재 조달/공사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형태의 사업. 일괄수주를 의미하는 턴키와 비슷한 개념이다. 턴키(Turn-Key) 건축주가 열쇠(Key)를 돌리면 설비가 움직이는 상태로 하여 인도한다는 뜻으로 자금조달에서 기획, 설계, 시공까지 일괄하여 건물과 시설을 인도하는 공사계약 방식으로 '일괄 수주 계약'을 말한다. 최근 해외수주사업에 EPC턴키 방식이 사용되는 사례가 많다. 국내에서는 사실상 동의어로 여겨지고 있지만, EPC와 턴키는 다른 개념이며, EPC + 시운전(Commissioning) = 턴키 라는 표현이 정확하..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이란,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을 넘어, 장소와 시간, 사물의 제약 없이 소통하는 환경을 말함. 빅데이터란,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주기도 짧으며,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디지털 환경 대규모 데이터 IoT는 데이터의 발생 및 수집 역할을 하는 인체로 비유하자면 감각기관. 빅데이터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로 가공해내는 두뇌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