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축산업 (2)
flimofoil

3D 스캐닝이란,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하여 물체의 3D 형태를 측정하는 방법 - 분류 - ㅇ 접촉식 탐촉자를 물체에 직접 닿게 하여 스캐닝. 정확하지만 물체의 변형 및 손상 가능성 (주로 제품검측에 이용) ㅇ 비 접촉식 빛을 이용하여 물체 스캐닝. 레이저나 백색광으로 물체에 빛을 쬔 후 반사된 빛의 시간 측정 후 거리로 수치화 (광범위한 공간 스캐닝에 주로 사용) 빛의 특성상 물체가 그림자에 가려지거나 물체 표면마감이 반짝이는 재질일 경우 3D 데이터 획득이 어렵다는 단점. 최대 1,000m 이상의 장거리 스캐닝부터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한 3D 데이터까지 획득하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 1) 레이저 스캐닝 : 광을 매개로 한 3D 측정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 레이저 스캐닝이란 광을 매개로 한 3D 측정의..

2018년 정부는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에서 혁신성장 선도하업 중 하나로 '드론 산업 육성'을 지정하며 오는 2025년가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기반을 구축하고 2030년 건설자동화 완성을 목표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수립하였고, 이에 힘입어 국내 건축시장에도 드론의 접목이 본격화되는 중. - 건설현장에서 드론의 활용 - ㅇ 전통적인 토지 측량 방법을 빠르게 대체중 (전자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얻은 데이터는 지적도, 등고선지도, 상황도 등 건설 시 유용한 자료가 됨) (드론에 가시카메라나 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한 경우 균열을 포함한 외관의 이상 징후 발견에 유효 ㅇ 1차적인 열화단인 외관 또는 비파괴 검사활용에 유효 ㅇ 시시각각 변하는 대규모 공사현장의 모습을 촬영하고 데이터화 ㅇ 접근성이 떨어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