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빅데이터 (3)
flimofoil
최근들어 모든 산업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임. 최근 몇 년 동안 건설산업도 시스템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건설산업 대부분의 기업들이 엄청나게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이는 인력, 자재, 비용, 생산성, 시장정보 등 다양하고 많은 영역의 정보들이다. 가령, DPA에서는 오토매틱데스크의 3D 기술을 활용해 디자이너들이 공기 흐름, 바닥 면적, 환경 복원력, 건물 성능 등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가상 모델에서 통합할 수 있도록 했다. 캘리포니아 ISO에서는 에너지 효율성으 루이한 시도로서 상황지능(situational intelligence)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기후 데이터, 센서, 계측장비 등 여러 출처에서 가져오는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연계 분석한다. ..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이란,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을 넘어, 장소와 시간, 사물의 제약 없이 소통하는 환경을 말함. 빅데이터란,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주기도 짧으며,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디지털 환경 대규모 데이터 IoT는 데이터의 발생 및 수집 역할을 하는 인체로 비유하자면 감각기관. 빅데이터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로 가공해내는 두뇌 역할.

스마트 건설기술이란, 전통적인 건설(토목, 건축)기술에 BIM, IoT, Big Data, 드론, 로봇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건설기술 BIM이란, '컴퓨터상의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나아가 유지관리 및 시설물 폐기까지 컴퓨터의 가상공간에서 시설물의 정보모델을 구현해보는 과정' 전 후 적용기술 설계 ㅇ2D설계 ㅇ단계별 분절 ㅇ3D설계 ㅇ전단계 융합 ㅇ Big Data 활용 시설물 계획 ㅇ Lidar, Camera활용 건설부지 정보 수집 ㅇ VR기반 대안검토 ㅇ BIM기반 설계자동화 시공 ㅇ현장생산 ㅇ인력의존 ㅇ 모듈화, 제조업화 ㅇ 자동화, 현장관제 ㅇ 드론을 활용한 현장 모니터링 ㅇ IoT기반 현장안전관리 ㅇ 장비 자동화 & 로봇시공 ㅇ 3D 프린터를 활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