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4차 산업혁명 (3)
flimofoil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CT, 빅데이터, AI 등 기술의 발전이 건축분야에도 접목되고있다. 세계 곳곳에서 '스마트 시티'가 만들어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부산 에코델타시티, 세종 5-1단지 등 계획 스마트시티가 완공을 앞두고 있다. 앞으로 한 일주일 간은 세계 여러 스마트시티들을 알아보며 어떤 방향성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려한다. 그 첫번째 사례로 스마트시티의 상징적인 도시인 핀란드 헬싱키의 칼라사타마 지구. 핀란드어로 '고깃배 항구'라는 뜻의 이 지역은 스마트시티로 개발하기 이전에는 쇠락한 공장들이 들어선 헬싱키 북부의 항구였다. 하지만 헬싱키 도심의 증가하는 인구를 분산시키기 위해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큰 변화를 맞았다. 2013년 1차 입주자를 모집 후 2020년 10월 기준 약 4천 명이 ..

스마트시티(Smart City)란, '다양한 유형의 전자 데이터 수집 센서를 사 ㅇ 늘어나는 도시 거주인구 유엔 인구 기금(UN Population Fund)에 따르면 2030년까지 대략 66%, 50억 명이 도시지역에 살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에 따른 교통 혼잡, 에너지 부족 등 다양한 주거/생활편의 문제가 예상. (이는 향후 도시 건설 및 관리에 막대한 어려움이 뒤따를 것임을 의미) ㅇ 기술의 발달 위에 언급한 도시인구의 증가는 위기이자 동시에 수십억 명의 도시인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발전한 IoT, 5G, 빅데이터, AI, ICT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도시교통, 수자원 및 폐기물 관리, 에너지 사용, 도시 운영 및 시민의 생활양식을 뒷받침하는 공공기반시설 관련 제..

3D 스캐닝이란,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하여 물체의 3D 형태를 측정하는 방법 - 분류 - ㅇ 접촉식 탐촉자를 물체에 직접 닿게 하여 스캐닝. 정확하지만 물체의 변형 및 손상 가능성 (주로 제품검측에 이용) ㅇ 비 접촉식 빛을 이용하여 물체 스캐닝. 레이저나 백색광으로 물체에 빛을 쬔 후 반사된 빛의 시간 측정 후 거리로 수치화 (광범위한 공간 스캐닝에 주로 사용) 빛의 특성상 물체가 그림자에 가려지거나 물체 표면마감이 반짝이는 재질일 경우 3D 데이터 획득이 어렵다는 단점. 최대 1,000m 이상의 장거리 스캐닝부터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한 3D 데이터까지 획득하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 1) 레이저 스캐닝 : 광을 매개로 한 3D 측정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 레이저 스캐닝이란 광을 매개로 한 3D 측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