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마트시티 (6)
flimofoil

2021/02/02 - [건축 Issue/해외] -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3 - 덴마크 코펜하겐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3 - 덴마크 코펜하겐 2021/01/28 - [건축 Issue/해외] -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2 - 바르셀로나 22@barcelona 프로젝트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2 - 바르셀로나 22@barcelona 프로젝트 2021/01/27 - [건축 Issue/해외] - 스.. flimofoil.tistory.com 앞의 세 사례는 어느정도 구축된 스마트시티들의 사례였다면 네 번째 사례부터는 조금 더 최신의, 앞으로 진행될 스마트시티 계획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그리하여 정해진 덴마크 코펜하겐에 이은 네번째 스마트시티 사례는 ..

2021/01/28 - [건축 Issue/해외] -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2 - 바르셀로나 22@barcelona 프로젝트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2 - 바르셀로나 22@barcelona 프로젝트 2021/01/27 - [건축 Issue/해외] -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1 - 핀란드 칼라사타마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1 - 핀란드 칼라사타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CT, 빅데이터, AI 등 기술의 발전이 건축분야에 flimofoil.tistory.com 22@barcelona에 이은 세 번째 스마트시티, 북유럽의 주요 금융 중심지로 불리는 코펜하겐(Copenhagen). '2017년 스마트 지수 평가에서 세계의 수많은 첨단 도시들을 제치고 1위..

2021/01/27 - [건축 Issue/해외] -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1 - 핀란드 칼라사타마 스마트시티(Smart City) 사례 1 - 핀란드 칼라사타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CT, 빅데이터, AI 등 기술의 발전이 건축분야에도 접목되고있다. 세계 곳곳에서 '스마트 시티'가 만들어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부산 에코델타시티, 세종 5-1단지 등 계획 flimofoil.tistory.com 핀란드 칼라사타마에 이은 두번째 스마트시티 사례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22@barcelona project. 찾아보니 스페인의 바르셀로나는 이미 스마트시티 선두주자로서 그 위상이 높아 매년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국제 행사인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CEWC)를 개최하고 있다고 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CT, 빅데이터, AI 등 기술의 발전이 건축분야에도 접목되고있다. 세계 곳곳에서 '스마트 시티'가 만들어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부산 에코델타시티, 세종 5-1단지 등 계획 스마트시티가 완공을 앞두고 있다. 앞으로 한 일주일 간은 세계 여러 스마트시티들을 알아보며 어떤 방향성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려한다. 그 첫번째 사례로 스마트시티의 상징적인 도시인 핀란드 헬싱키의 칼라사타마 지구. 핀란드어로 '고깃배 항구'라는 뜻의 이 지역은 스마트시티로 개발하기 이전에는 쇠락한 공장들이 들어선 헬싱키 북부의 항구였다. 하지만 헬싱키 도심의 증가하는 인구를 분산시키기 위해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큰 변화를 맞았다. 2013년 1차 입주자를 모집 후 2020년 10월 기준 약 4천 명이 ..

Smart City를 알아보던 중, 지난 '19년 7월 국토부에서 발표한 '제3차 스마트 도시 종합계획 (2019-2022)를 발견. 공부할 겸 배경과 간단한 사업내용 정리 해 보려한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국토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람. 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jsp?id=4472 정책정보 | 국토교통부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19~'23)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공고(국토교통부 공고 제2019-971호)된 「제3차 스마트 www.molit.go.kr 스마트 시티(Smart City)의 개념에 대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 참고. 2021/01/25 - [건축 Iss..

스마트시티(Smart City)란, '다양한 유형의 전자 데이터 수집 센서를 사 ㅇ 늘어나는 도시 거주인구 유엔 인구 기금(UN Population Fund)에 따르면 2030년까지 대략 66%, 50억 명이 도시지역에 살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에 따른 교통 혼잡, 에너지 부족 등 다양한 주거/생활편의 문제가 예상. (이는 향후 도시 건설 및 관리에 막대한 어려움이 뒤따를 것임을 의미) ㅇ 기술의 발달 위에 언급한 도시인구의 증가는 위기이자 동시에 수십억 명의 도시인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발전한 IoT, 5G, 빅데이터, AI, ICT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도시교통, 수자원 및 폐기물 관리, 에너지 사용, 도시 운영 및 시민의 생활양식을 뒷받침하는 공공기반시설 관련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