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imofoil
국토교통부 '제 3차 스마트 도시 종합계획(2019-2022)' 본문
Smart City를 알아보던 중, 지난 '19년 7월 국토부에서 발표한 '제3차 스마트 도시 종합계획 (2019-2022)를 발견.
공부할 겸 배경과 간단한 사업내용 정리 해 보려한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국토부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람.
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jsp?id=4472
스마트 시티(Smart City)의 개념에 대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 참고.
2021/01/25 - [건축 Issue/시공] - 스마트 시티(Smart City)란,
우리나라의 스마트 도시법 추진 경과는 아래와 같다.
'08. 03 U-City법 제정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09. 11 제 1차 U-City 종합계획 수립
'13. 02 제2차 U-City 종합계획 수립
'17. 03 스마트도시법 개정
'18. 01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발표
'19. 07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19-2022) 수립
- 정책 추진방향 -
ㅁ 도시성장 단계별 접근 ( 신규개발 / 도시운영 / 노후 / 쇠퇴 )
ㅇ 국가 시범도시
4차산업혁명 융복합 신기술 테스트베드, 도시문제 해결 및 삶의질 제고
혁신 산업생태계 조성을 균형있게 추진
*국내 신도시에 대한 스마트시티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해외진출도 활성화
ㅇ 기존도시
데이터 허브모델*과 테마형 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지자체 공모 시행
*교통/안전/행정 등 도시문제 해결형
환경/에너지/생활복지 등 비즈니스 창출형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시티 사업을 발굴하도록 계획수립 지원
ㅇ 노후도시
매년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사업 선정(뉴딜사업 연계 추진, 국비 추가지원)
*도시재생 주민협의체를 기반으로 민간, 지역 전문가 등 참여, 저비용/고효율 서비스 제공
ㅁ 도시 가치를 높이는 맞춤형 기술 접목
ㅇ 상용기술
시민체감이 높은 기술 (노후 도심 / 기존 도시에 적용)
* 예시 (교통) ITS, BIS, 스마트 파킹/신호등
(에너지) 스마트미터, 제로에너지 건축
(환경) LID, 전기차, 미세먼지 감지
(도시행정) 통합플랫폼, 지능형 CCTV
(스마트홈) 홈 네트워킹, 쓰레기 처리 등
ㅇ 미래기술
혁신성장효과가 높은 기술 (국가 시범도시에 적용)
*미래 공통 선도기술 : 네트워크 / 빅데이터 / 인공지능
체감기술 : 자율주행, 드론, 스마트그리드, 가상현실
ㅁ 주체별 역할
ㅇ 민간투자
과감한 규제 개선, 혁신 창업 생태계(인큐베이팅 존) 조성, 인력양성, 비즈니스 모델 발굴,
공공 인프라 선투자
*신 산업이 새롭게 구현되고, 민간투자/기업참여 범위 확대되도록 규제 샌드박스와 특례규정 도입
ㅇ 시민참여
거버넌스 구축, 크라우드 펀딩 도입, 리빙랩 등 추진
ㅇ 정부지원
규제개선을 위한 '스마트도시법'등 개정, 스마트시티 표준화 논의, 해외진출 및 국제협력 지원
'18년 선정
'20년 착공
'21년 입주 예정인 국가 시범도시 (세종 5-1생활권 / 부산 에코델타시티)
'건축 Issue > 법·규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부, '21년 1월 건설산업 혁신방안 본격시행 (0) | 2021.01.19 |
---|---|
국토교통부 '건축 BIM 활성화 로드맵' 발표 (0) | 2021.01.17 |
국토교통부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0) | 2021.01.15 |
대법원 '안전의무위반 사망 사고 시' 양형 기준 강화 (0) | 2021.01.13 |
산업통상자원부 '엔지니어링 품셈 마련' (0) | 2021.01.11 |